- 직접배관형 밸브와 베이스배관형 밸브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
직접배관형 밸브는 공급/출력 측의 관접속을 밸브 몸체에 원터치피팅을 부착하여 직접 공급하는 밸브로 단독으로 쓰일 때 유용한 밸브입니다.
베이스 배관형은 매니폴드 등 Sub 플레이트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출력하는 밸브로 매니폴드 사용시 공통공급이 가능해 배관이 간편하고 외관상 깔끔한 배관이 가능해 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공기압 기기(밸브, 실린더)를 사용하는데 청정화 기기가 꼭 필요한가요?
-
공기의 압력이 변화하거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면 공기압기기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적정압력의 유지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공기압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에어크린유니트 등의 청정화기기가 꼭 필요합니다.
- 보호구조의 규격(IP등급)에 대해 알려주세요.
-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기계기구의 방수 및 방진에 관한 보호등급은 국제전기회의(IEC)가 발행한 규격(IEC 529, IEC34-5)에 의해 기기구조에 대하여 방진(防塵), 방수(防水) 등급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표시방법 : IP65⇒ IP(①기호문자-국제보호) 6(②제1특성) 5(③제2특성)
▷제1특성 : 접촉 및 이물 보호의 보호등급 (방진: 防塵)
▷제2특성 : 물보호의 보호등급 (방수: 防水)
방진(防塵)에 대한 등급 분류
IP표시
방진(防塵)에 대한 보호형식
제1특성
보호정도
시험조건
IP0□
없음
없음
IP1□
손의 접근으로부터의 보호
직경 30mm 이상의 물체가 침투되지 않을 것
IP2□
손가락의 접근으로부터의 보호
직경 12mm 이상의 물체가 침투되지 않을 것
IP3□
공구의 선단 등으로부터의 보호
직경 2.5mm 이상의 물체가 침투되지 않을 것
IP4□
Wire 등으로부터의 보호
직경 1.0mm 이상의 물체가 침투되지 않을 것
IP5□
분진으로부터의 보호
정상동작을 방해하는 분진이 침투되지 않을 것
IP6□
완전한 방진 구조
방진의 침투가 완전하게 보호 될 것
방수(防水)에 대한 등급 분류
IP표시
방수(防水)에 대한 보호형식
제2특성
보호정도
시험조건
IP□0
없음
없음
IP□1
수직으로 떨어지는 물방울로부터의 보호
200mm 의 높이에서 3~5L/분의 물방울을 10분간
IP□2
수직에서 15° 범위에서 떨어지는 물방울로부터의 보호
200mm 의 높이에서 15° 범위로 3~5L/분의 물을 10분간
IP□3
수직에서 60° 범위에서 떨어지는 물로부터의 보호
200mm 의 높이에서 60° 범위로 3~5L/분의 물을 10분간
IP□4
전방향으로 쏟어지는 물로부터의 보호
300~500mm 의 거리에서 전방향으로 10L/분의 물을 10분간
IP□5
전방향으로 쏟어지는 물로부터의 보호
3m의 거리로부터 전방향으로 12.5L/분 30kPa의 물을 3분간
IP□6
파도 등의 강력하게 쏟아지는 물로부터의 보호
3m의 거리로부터 전방향으로 30L/분 100kPa의 물을 3분간
IP□7
일정한 조건으로 물에 잠겨서 사용가능
물밑 1m에서 30분간
IP□8
물속에서 사용 가능
사용자와 제조자 측간의 협의에 의하여
- 신영제어기 제품중 기종표시에 BF는 무슨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
BF시리즈는 브라운관 제조공정 등에서 동이온 발생 방지용으로 제작된 제품을 말합니다.
동이온 방지를 위해 무전해 니켈 도금처리를 하며 비동계부품을 사용하여 동이온 발생 방지에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적용되는 밸브 및 실린더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적용 환경 및 제품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면 당사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적용밸브
적용 실린더
SV50시리즈(M5) SV100시리즈(Rc1/8) SV200시리즈(Rc1/4) SV300시리즈(Rc3/8) SV400시리즈(Rc1/2) SV600시리즈(Rc3/4) 3포트 밸브(M5, Rc1/8) 에어파일럿밸브(전기종)
MC시리즈(∅10~∅40) SC(W)시리즈(∅40~∅100) FA/FB(W)시리즈(∅10~∅100)
- 공기압 기기의 사용온도는 어떻게 되나요?
-
사용온도는 대부분 5~60℃정도로 규정되어져 있습니다.
최저 온도가 5℃로 되어 있는 것은 사용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작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고 온도가 60℃로 되어 있는 것은 이 온도를 초과하면 패킹의 종류와 윤활유 등에 관하여 특별한 고려를 해야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공압실린더의 경우에는 약70℃가 최고 사용 온도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50℃이하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하시길 원하시면 영업사원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 내열용 제품의 구입에 대한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해외 규격명칭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명칭
내용
ISO
국제규격(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JIS
일본규격(Japananese Industrial Standard)
ANSI
미국규격(Americal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BS
영국규격(British Standard)
CETOP
유럽 유공압 위원회 규격(Comit Europen des Transmissions Olohydraulliques et Pneumatiques)
CNTOP
프랑스, Tool 및 기계 규격위원회 규격(Comite de Normalisation des Outillages et Machines)
CSA
캐나다 규격(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DIN
독일규격(Deutsche Institute fr Nornung)
EU
유럽 통일규격(European Standard)
IEC
국제 전기규격(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LR
로이드 선급협회 규격(Lloyd's Register of Shipping)
NFPA
미국 fluid power협회 규격
OSHA
미국 안전규정
UL
미국 보험협회시험소 인증(Underwriters Laboratories)
VDE
독일 전기 기술자 협회규격(Verband Deutscher Elektrotechniker)
VDMA
Verein 기계제조자 협회규격(Verein Deutscher Maschinenbau-Anstalten)
- 피상전력과 소비전력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교류의 경우의 외관상의 소비전력을 피상전력이라 하고 피상전력은 VA로 표기하며 이는 순수한 출력전류(A)와 전압(V)를 곱한 수치이며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소비전력(W)은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한 것으로 출력의 부하성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AC솔레노이드에서는 주로 피상전력(VA)로 표기합니다.
DC솔레노이드의 소비전력(W)는 전압(V)⨉전류(A)로 표기합니다.
- 매니폴드블럭 주문은 어떻게 하나요?
-
홈페이지의 고객지원>상담문의를 이용하시거나 카탈로그의 매니폴드 조립주문서를 복사하여 대리점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매니폴드사양 중 기종표시방법에서 마지막에 쓰이는 D는 무슨 의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매니폴드를 DIN레일에 쉽게 고정할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사양입니다. DIN레일에 부착시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고정/이동이 용이한 제품 사양입니다.
-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방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방식은 크게 직동형과 파일럿방식으로 구분이 되며 파일럿식의 경우 포핏형, 스풀형 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직동형 : 솔레노이드의 힘만을 이용해 밸브의 위치 전환을 하는 밸브로 같은 상태의 유효단면적 기준시 파일럿식에 비해 솔레노이드부(코일)의 크기가 크며, 진공 등에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파일럿방식에 비해 코일소손이 상대적으로 빠르며, 응답속도는 파일럿 방식에 비해 빠른 특징이 있습니다.
▶파일럿 방식 :밸브의 위치전환은 압축공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솔레노이드의 역할은 단지 압축공기의 파일럿실을 향한 ON/OFF 기능 만을 담당하고 있으며 직동식에 비해 코일부가 상대적으로
작고 코일 수명이 길며 직동형에 비해 응답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
- 여과도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여과도(Normal filtration rating)란 작동유체가 필터를 통과할 때 여과재료에 의해 제거되는 혼입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호칭으로 단위는 ㎛(1/1000㎜)로 나타냅니다.
- 유량특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유량특성의 표시방법으로는 유효단면적 S(㎜2),Cv값, C(음속컨덕턴트)-b(임계압력비)로 표시합니다.
각각의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효단면적 S(㎟) : 밸브의 실제 측정유량을 기준으로 하여 압력 저항을 등가의 오리피스로 환산한 계산상의 단면적(㎟)을 흐름 능력의 표시치로 주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Cv값(Cv Value) : 인치계의 수압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현재는 공기압분야에서 실측한 값으로 계산해서 구합니다.
북미를 중심으로 인치 단위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C(음속컨덕턴트:d㎥/(sbar)-b(임계압력비) : 국제규격에 의한 유량특성의 표시방법으로 상류압력이 하류압력에 비해 높고 기기의 일정 부분에서 속도가 음속에 달해있는 흐름상태에서
기기의 통과질량유량을 상류 절대압력과 표준상태일 때의 밀도로 나눈값을 C(음속컨덕턴트)로 표시하고 하류압력/상류압력의 비를 b(임계압력비)로 표시하여 유량특성을 표시합니다.
표준상태: 온도 20℃, 절대압력 0.1MPa(=100kPa=1bar), 상대습도 65%의 공기상태, 공기량 단위 뒤에 약호(ANR)을 붙여서 표시합니다.
▶각 값들의 상관관계 : 유효단면적(S) ≒ 18.0xCv ≒ 5.0xC 보다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시면 당사로 메일을 주시거나 공기압 관련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실린더나 밸브사용시 주기적으로 급유를 해야 하나요?
-
당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전기종은 초기 윤활이 되어있어 사용하는 기간동안 무급유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유를 할 경우는 터빈유1종(ISO VG32상당)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급유를 사용도중에 중단시킬 경우는 초기 윤활제의 소실로 인하여 작동불량을 초래할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주기적으로 급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코일 절연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코일절연은 코일심선이 어느정도의 온도까지 견딜수 있는지를 구분해 놓은 규격입니다.
당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제품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B종상당의 내열 클래스 코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클래스별 최고허용온도를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내열 Class
최고허용온도(℃)
A종
105
E종
120
B종
130
F종
155
H종
180
- 배관용 나사의 종류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 홈페이지의 고객지원>공기압 기술자료>9. 관용나사 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공기압에 사용되는 주요 단위를 알고 싶습니다.
-
<SI단위와 중력단위>
<인치단위계와 SI단위>
압력
1Mpa= 10.2kgf/㎠
압력
1psi=0.006895Mpa
1Kpa=7.51㎜Hg
100psi=0.7Mpa
10pa=0.012㎜H2O=0.012Torr
유량
1CFM=28.317ℓ/min
하중
1N=0.12kgf
1SCFM=28.317ℓ/min(ANR)
1mN=0.000102kgf
길이
1inch=25.4㎜
힘의 모멘트
1N∘m=0.12kgf∘m
1feet=30.48㎝
1N∘㎝=0.102kgf∘㎝
면적
1sq.in=6.4516㎠
에너지
1J=0.102kgf∘m=10.2kgf∘㎝
체적
1cubic inch=16.375㎤
1mJ=0.0102kgf∘㎝
1gallon=3.7854ℓ
가속도
1m/s2=0.102G
질량
1ib=0.4536㎏
응력
1N/㎟=0.102kgf/㎟
하중중량
1lbf=4.448N
관성모멘트
1㎏∘㎡=1.02x10-3kgf∘㎝∘s2
힘의 모멘트
1lbf=1.356N∘m
1㎏∘㎡=0.102kgf∘㎝∘s2
에너지
1ft∘lbf=1.3582J
- 응답특성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
P-port에 압력 0.5㎫를 가해 A,B Port의 한 방향에 압력검출장치를 설치하고여자회로에 정격전압을
인가 또는 끊고서 압력검출장치에 압력이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응답특성이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의 성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공기의 성분은 아래의 표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습니다. 당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제품에 사용하는 유체는 압축공기나 불활성 가스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유체를 사용할 경우는 당사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분
체적비(5%)
성분
체적비(%)
질 소 (N2)
78.3
네 온 (Ne)
0.0012
산 소 (O2)
20.99
헬 륨 (He)
0.00043
아 르 곤 (Ar)
0.94
크 립 톤 (Kr)
0.000005
이산화탄소 (CO2)
0.03
크 세 논 (Xe)
0.0000006
수 소 (H2)
0.01
- 에어 파일럿 밸브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
에어 파일럿 밸브란 공기압력에 의해 밸브의 스풀을 조작하는 것으로 사용환경면에서 전기를 사용할수 없는 곳, 즉 방폭성이 요구되는 장소에 주로 사용됩니다.